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옥외광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OOH광고학연구 | 한국OOH광고학회 | 27 pages| 2024.12.12| 파일형태 :
조회 78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최근 옥외광고는 디지털화를 통해서 새로운 산업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미디어파사드, 디지털 모빌리티 광고 등이 옥외광고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옥외광고의 산업적인 규모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타 산업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계량적인 분석과 함께, 옥외광고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옥외광고산업이 어떠한 산업들과 상호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어떠한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옥외광고산업을 그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 옥외광고산업과 디지털 옥외광고산업으로 나누고 각 산업별 연관된 산업을 분류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했다. 아날로그 옥외광고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1.8929,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6227,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당 18.8395명, 전방연쇄효과의 감응도계수는 1.1203, 후방연쇄효과의 영향력계수는 1.1064로 나타났다. 반면, 디지털 옥외광고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1.4235,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7831,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당 6.7551명, 전방연쇄효과의 감응도계수는 0.9437, 후방연쇄효과의 영향력계수는 0.857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재편이 국민경제 전반적인 측면에서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지만, 취업이나 생산유발효과 측면에서는 오히려 기존의 산업에 비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디지털 옥외광고산업이 수도권에 집중되고 소수의 기업에 가치가 집중되는 플랫폼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아날로그 옥외광고산업의 디지털 대체에 대해서 정책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속도조절이 필요해보인다. 아날로그 옥외광고산업의 디지털 대체에 있어서 정책적으로 적절한 속도조절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옥외광고산업에 대해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한 최초의 연구로서 옥외광고산업과 다른 산업의 연관구조 및 국가경제에 대한 파급효과를 면밀하게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In recent times, the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has undergone a significant industrial transformation as a result of the advent of digital technologies. New growth engines of the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include digital signage, free advertising zones, media facades, and digital mobility advertising. As the scale of outdoor advertising continues to expand,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potential for sustained growth of the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along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of its linkages with other indust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relatedness of the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with other industries and its economic impact through industry linkage analysis. To this end, the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has been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alog and digital outdoor advertising. The economic impact has been calculated by classifying the industries related to each industry. The resulting values for the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tion coefficients of the analog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were 1.8929, 0.6227, and 18.8395 per billion won,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sensitivity coefficient of the forward linkage effect was 1.1203, while the influence coefficient of the backward linkage effect was 1.1064. In contrast, the production induction coefficient of the digital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was 1.4235, the value-added induction coefficient was 0.7831, the employment induction coefficient was 6.7551 per billion won, the sensitivity coefficient of the forward linkage effect was 0.9437, and the influence coefficient of the backward linkage effect) was 0.8575. The industry linkag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transition from analog to digital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generate greater added value for the overall national economy. However, in terms of employment and production-induced effects, it exhibits lower characteristics than the existing industry. This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case of the digital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옥외광고산업의 이해
Ⅲ. 산업연관분석 방법론
Ⅳ. 옥외광고산업의 분류와 연구 절차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옥외광고산업 #경제적 파급효과 #산업연관분석 #생산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전후방연쇄효과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Economic spillovers #Industry linkage analysis #Production induced effects #Employment induced effects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effect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OOH광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