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요약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이용자의 업무와 가정생활의 균형이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처리 목적의 스마트 기기 활용으로 인한 역할모호성과 가정생활에서의 갈등이 업무-가정생활의 균형을 저해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 활용으로 인한 스트레스인 심신소진과 무기력함이 업무-가정생활의 균형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총 235명의 스마트 기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PLS(partial least square)와 Baron and Kenny(1986)의 매개적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제안한 4개의 가설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역할모호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업무-가정생활의 균형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고, 가정생활과의 갈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심신소진과 무기력은 업무-가정생활 균형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업무와 가정생활과의 관계로 확장시켜, 기업 내 테크노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동시에, 가정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는 하였다는 점에서 그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 활용을 통해 발생되는 순기능 이외에 역기능에 대한 논의를 업무와 일상생활 영역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규명하여, 기존의 정보 기술 패러독스에 대한 논의를 지속할 수 있는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또 다른 학술적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스마트워크 환경으로의 빠른 전환에 따라 발생되는 일과 삶의 불균형이라는 부작용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일과 삶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조직과 개인이 모두 상생할 수 있는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업무와 가정생활과의 관계로 확장시켜, 기업 내 테크노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동시에, 가정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는 하였다는 점에서 그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 활용을 통해 발생되는 순기능 이외에 역기능에 대한 논의를 업무와 일상생활 영역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규명하여, 기존의 정보 기술 패러독스에 대한 논의를 지속할 수 있는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또 다른 학술적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스마트워크 환경으로의 빠른 전환에 따라 발생되는 일과 삶의 불균형이라는 부작용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일과 삶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조직과 개인이 모두 상생할 수 있는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역할모호성#업무-가정생활 갈등#업무-가정생활 균형#심신소진#무기력함#삶의 질#role ambiguity#work-home balance#work-home conflict#burnout#rust-out#quality of life